1. https://www.comcbt.com/xe/index.php?mid=iz&page=4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www.comcbt.com

2. https://q.fran.kr/%EC%8B%9C%ED%97%98/%EC%A0%95%EB%B3%B4%EC%B2%98%EB%A6%AC%EA%B8%B0%EC%82%AC

 

기출문제 문제은행

각종IT시험, 공인중개사 등 답있는 기출문제 시험 자격증 족보

q.fran.kr

3. https://www.gunsys.com/cbt_list/index.php?cbt=gisa 

 

행복한 만남 [건시스템]

국가기술자격 지식공유 커뮤니케이션즈, 기출문제, CBT, 모의고사, 문제은행

www.gunsys.com

4.https://www.kinz.kr/subject/7872

 

정보처리기사 객관식 필기 기출문제 CBT 목록 - 킨즈

 

www.kinz.kr

 

728x90

'I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유튜브 강의.............(시나공)  (0) 2023.02.10
정렬  (0) 2018.09.02
자료구조  (0) 2018.09.02
고급 데이터베이스  (0) 2018.01.13
튜닝  (0) 2018.01.13

1.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토막 강의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pYNFXUfkvDoKIPr-o9GiD_Jr7tmyTjNu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토막강의

 

www.youtube.com

 

2.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토막 강의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pYNFXUfkvDpQTrvcqsCI4E3JidQ8IYOW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토막강의

 

www.youtube.com

 

3.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퀵이지 토막강의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pYNFXUfkvDrP24eAgdQxo4bn1VT4zq0A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QnE] 토막 강의

 

www.youtube.com

 

4.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본서 토막강의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pYNFXUfkvDqw4OEJNGts5NiGG3iQ40pp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본서] 토막강의

 

www.youtube.com

728x90

'I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사이트 링크 모음)  (0) 2023.02.10
정렬  (0) 2018.09.02
자료구조  (0) 2018.09.02
고급 데이터베이스  (0) 2018.01.13
튜닝  (0) 2018.01.13

- 오름/ 내림차순 정렬

 

- 삽입 정렬:

 

 

 

- 버블 정렬:

 

 

 

- 선택 정렬:

 

 

 

- 병합 정렬:

 

 

- 퀵정렬:

 

 

- 쉘정렬:

 

 

-힙정렬:

 

 

 

 

 

728x90

'I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사이트 링크 모음)  (0) 2023.02.10
정보처리기사 유튜브 강의.............(시나공)  (0) 2023.02.10
자료구조  (0) 2018.09.02
고급 데이터베이스  (0) 2018.01.13
튜닝  (0) 2018.01.13

*자료 구조의 분류

 

- 선형 구조: 선형리스트(배열), 연결리스트, 스택, 큐, 데크

 

- 비선형 구조: 트리, 그래프

 

1. 배열 (Array)

 

-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일정한 규칙에 따라 여러 요소가 나열되어 있는 데이터들의 집합이다. (배열은 차원은 가진다.)

 

 

2. 연결리스트 (Linked List)

 

- 연결리스트는 자료들을 임의의 기억공간에 기억시키되, 자료 항목의 순서에 따라 노드의 포인터 부분을 이용하여 연결시킨 자료구조이다. 

 

3. 스택 (Stack)

 

- 리스트의 한쪽 끝으로만 자료의 삽입, 삭제 작업이 루어지는 자료구조이다.(LIFO방식을 사용함)

 

- TOP: 가장 마지막으로 삽입된 자료가 기억 된 위치를 가리키는 요소

- BOTTOM: 스택의 가장 밑바닥

- PUSH: 스택에 자료를 입력하는 명령

- POP: 스택에서 자료를 출력하는 명령

- Stack의 용도: 부 프로그램 호출시 복귀 주소를 저장할 때

 

4. 큐 (Queue)

 

- 리스트의 한쪽 끝에서는 삽입이, 다른 한쪽끝에서는 삭제가 이루어지는 자료 구조이다. (FIFO로 처리 된다.)

 

- Queue를 사용하는 예: 대기 행렬 처리, 운영체제 작업스케줄링

 

5. 데크 (Deque)

 

- 삽입과 삭제가 리스트 양쪽끝에서 발생하는 자료구조이다.

 

6. 트리 (Tree)

 

- 노드와 선분을 이용하여 사이클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한 graph의 특수한 형태이다.

 

7. 그래프 (Graph)

 

- 노드, 엣지, 프로퍼티와 함께 리스트 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한다.

728x90

'I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유튜브 강의.............(시나공)  (0) 2023.02.10
정렬  (0) 2018.09.02
고급 데이터베이스  (0) 2018.01.13
튜닝  (0) 2018.01.13
보안  (0) 2018.01.13

* 분산 데이터베이스(Distributed Database): 분산 데이터베이스는 논리적으로는 같은 시스템에 속하지만 물리적으로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ㄴ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목표

 

● 위치 투명성: 데이터베이스의 실제 위치를 알 필요 없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명칭만으로 접근할 수 있다

 

● 중복 투명성: 동일한 데이터가 중복 되어 있더라도 하나의 데이터만 존재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고 시스템은 자동으로 여러데이터에 대한 작업을 수행한다.

 

● 병행 투명성: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다수의 트랜잭션들이 동시에 실행 되도, 트랜잭션의 수행결과는 서로 영향 받지 않는다.

 

● 장애 투명성:  트랜잭션, DBMS, 네트워크, 컴퓨터 장애에도 트랜잭션은 정확하게 수행된다.

 

*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Multimedia Database): 텍스트, 그래픽, 정지 화상, 동영상, 음성 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이다.

 

ㄴ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파일 기반 기법: DBMS가 사용되지 않고, 단순 검색 위주의 VOD(Video On Demand)등에 이용된다.(동시접근 및 회복이 힘들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법: 텍스트 데이터를 위해서 CLOB 데이터 타입을,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등을 위해서는  BLOB 데이터 타입을 사용한다.  

 

●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멀티미디어를 가장 잘 표현 할 수 있는 기법으로, 사용자 정의 클래스와 메소드를 이용해 미디어별로 별도의 클래스 정의가 가능하다.

 

●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법: CLOB, BLOB 데이터 타입, 미디어별 사용자 클래스와 메소드 정의가 모두 가능하다.

 

* 주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Main Memory Database): 주기억 장치에 데이터베이스를 상주시킨 후 연산을 수행하며 디스크 입출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ㄴ주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 특성:

 

● 빠른 연산이 가능하다.

 

● 회북 작업이 어렵다.

 

● 주기억장치의 구입비용이 많이 든다.

 

*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급증하는 다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정보화하고 이를 여러 계층의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베이스이다. 

 

ㄴ 데이터 웨어하우스이 장점

 

● 높은 투자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 

 

● 타사에 비하여 경쟁우위를 획득할 수 있다.

 

● 의사 결정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ㄴ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단점

 

● 기존 세스템과 명확한 역할 설정을 하지 못하면 업무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 추출기준에 맞지 않는 데이터의 입력, 갱신, 삭제가 발생하면 불일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의사결정을 위한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으면 정확한 결과를 도출 할 수 없다.

 

● 과다한 자원이 사용 되고 유지 보수가 어렵다.

 

* 데이터 마트(Data Mart)

 

- 소규모 단일 주제의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말한다.

 

ㄴ 데이터 마트의 특징

 

● 데이터 웨어하우스이 데이터를 분석 조건에 적합한 구조로 재구성함.

 

● 필요한 이력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제한된 규모의 데이터

 

● 다양한 질의나 요구를 충족하는 유연성과 접근성이 뛰어난 다차원 구조의 데이터

 

 

*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 데이터 마이닝이란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된 데이터 집합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유용하고 가능서 있는 정보를 발견하기 위한 기법이다. 

 

ㄴ 데이터 마이닝 기법

 

● 연관(Association)

 

● 연속( Sequence)

 

● 분류(Classification):

 

● 클러스터링(Clustering)

 

● 특성화(Characterization)

 

● 패턴 분석(Pattern Analysis)

 

● 경향 분석(Trend Analysis)

 

* OLAP


- OLAP는 다차원으로 다차원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로부터 통계적인 요약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ㄴ OLAP 연산

 

● Roll-up: 내용의 상세 데이터로부터 요약된 데이터로 접근하는 개념

 

● Drill-down: 분석할 항목에 대해 요약된 형태의 데이터로부터 구체적인 내용의 상세 데이터로 접근하는 개념 

 

● Drill-through: 데이터 웨어하우스나 OLTP에 존재하는 상세 데이터에 접근하는 기능

 

● Drill-across: 다른 데이터 큐브에 접근하는 기능

 

● Pivoting: 보고서의 행, 열 페이지 차원을 바꾸어 볼 수 있는 기능

 

● Slicing: 다차원 데이터 항목들을 다양한 각동에서 조회하고 자유롭게 비교하는 기능

 

● Dicing: Slicing을 더 세분화하는 기능

 

ㄴ OLAP 종류

 

● ROALP

 

● MOLAP

 

HOLAP

 

* OLTP

 

- OLTP는 온라인 업무 처리 형태의 하나로 네트워크상의 여러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검색하는 등의 단위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 ODBC

 

-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MS사가 만든 응용프로그램의 표준 인터페이스이다.

 

- ODBC의 구조

 

 

 

728x90

'I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렬  (0) 2018.09.02
자료구조  (0) 2018.09.02
튜닝  (0) 2018.01.13
보안  (0) 2018.01.13
병행제어  (0) 2018.01.13

*튜닝(Tuning)의 개요: 데이터베이스 튜닝이란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자체, 운영체제등으로 조정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 튜닝의 목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SQL문의 실행시 디스크 블록에 대한 접근 횟수를 최소화한다.

 

* 튜닝의 단계

 

- 비즈니스 튜닝

 

- 데이터 설계 투닝

 

- 응용 프로그램 설계 튜닝

 

-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 튜닝

 

- 접근 경로 튜닝

 

- 메모리 관리 튜닝

 

- 물리적 구조 및 입/출력 튜닝

 

- 자원의 경합 튜닝

 

-  H/W 시스템에 특화된 부분의 튜닝

 

* 인덱스 튜닝

 

ㄴ 인덱스 종류

 

● B-트리 인덱스

 

● 비트맵 인덱스

 

역방향 인덱스

 

● 클러스터드 인덱스

 

넌클러스터드 인덱스

 

728x90

'I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0) 2018.09.02
고급 데이터베이스  (0) 2018.01.13
보안  (0) 2018.01.13
병행제어  (0) 2018.01.13
회복  (0) 2018.01.12

* 보안(Security)의 개념

 

-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

 

* 보안 기술의 목표

 

- 정보 보호: 불법적인 정보 누출 방지 한다.

 

- 정보 인증: 허위정보 저장과 허가 없이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한다.

 

- 사용자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사람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이다.

 

* 보안 기법

 

ㄴ SQL문을 사용한 권한 부여 기법

 

● DCL을 이용한 기법

 

뷰(View)기법

 

ㄴ 암호화 기법

 

개인키 암호화 기법

 

동일한 키로 데이터의 암호화와 복호화가 이루어진다. 종류로는 전위 기법, 대체 기법, 합성 기법 등이 있고 대표적인건 DES(DATA Encryption Standard) 기법이다. 

 

장점은 속도가 빠르며,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구현에 필요한 용량 크키가 작다는 점 그리고 단점은 관리해야할 키의 개수가 많다는 점이다.

 

● 공개키 암호화 기법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암호화 할 때는 공개키로 복호화 할때는 비밀키가 사용 되며, 공개키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공개 하지만

비밀키는 관리자가 비밀리에 관리한다. 비대칭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불리며, RSA 기법이 대표적이다.

 

장점은 관리해야할 키의 개수가 적고 분배가 용이하다는 이며 단점은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파일의 크기가 커진다는 점이다. 

 

728x90

'I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급 데이터베이스  (0) 2018.01.13
튜닝  (0) 2018.01.13
병행제어  (0) 2018.01.13
회복  (0) 2018.01.12
트랜잭션  (0) 2018.01.12

* 병행제어의 개념

 

- 여러개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인터리빙하게 실행 되는

 

* 병행제어의 목적

 

- 데이터베이스의 공유를 최대화 한다

 

- 시스템의 활용도를 최대화 한다.

 

- 사용자에 대한 응답 속도를 최소화 한다.

 

- 단위 시간당 트랜잭션 처리 건수를 최대화 한다.

 

-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 병행제어의 필요성  

 

- 갱신 분실, 모순성, 연쇄 복귀의 문제 방지

 

* 병행 제어 기법의 종류

 

-  2단계 잠금 규약 기법:

 

   ● 트랜잭션 스케쥴의 직렬성을 보장한다.

 

   ● 확장(Growing)단계와 축소(Shrinking) 단계 두 단계로 수행된다.

 

   ● 교착 상태를 예방할수 없다.

 

- 타임 스탬프 순서 기법:

 

  ● 타임스탬프는 시스템이 각 트랜잭션을 실행할 때 부여하는 값으로 이 값의 순서대로 트랜잭션이 실행 된다.

 

  ● 실행 순서를 결정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 잠금

 

- 잠금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트랜잭션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 교착상태란 어떤 한 트랜잭션 사용 때문에 잠긴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다른 모든 트랜잭션들이 대기 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728x90

'I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튜닝  (0) 2018.01.13
보안  (0) 2018.01.13
회복  (0) 2018.01.12
트랜잭션  (0) 2018.01.12
인덱스  (0) 2018.01.12

* 회복의 개념

 

- 회복은 트랜잭션 실행 도중 장애가 발생에 데이터가 손상되면 손상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구 시켜주는 것이다.

 

* 회복 기법

 

- 연기 갱신 기법: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종료 될 때 까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갱신을 연기하는 것. 

 

- 즉각 갱신 기법: 트랜잭션이 부분 완료 되기 전이라도 즉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기법이다.

 

- 그림자 페이지 기법: 데이터베이스를 일정한 페에지 단위로 그림자페이지로 복사해 놓고 실제 페이지를 대상으로 트랜잭션에 대한

                                변경 작업을 수행하는 기법이다.

 

- 검사점 기법: 변경 내용이나 시스템 상황등에 대한 정보와 검사점을 로그에 보관하여 최근의 검사점으로 부터 회복 작업을 실행하여

                      회복시간도 단축 시킬 수 있다.

 

- 미디어 회복 기법: 저장장치 덤프에 데이터베이스 내용을 저장하고 장애 발생시 최근의 덤프 내용을 디스크에 적재하고 로그를

                             이용하여 가장 최근 덤프 이후 료된 트랜잭션들에 대해 Redo 작업을 수행한다.

728x90

'I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  (0) 2018.01.13
병행제어  (0) 2018.01.13
트랜잭션  (0) 2018.01.12
인덱스  (0) 2018.01.12
시스템 카탈로그  (0) 2018.01.12

* 트랜잭션(Transaction)의 정의

 

-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 수행을 위한 연삽 집합으로서의 작업의 단위이다.

 

-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에서 회복 및 병행 수행시 처리되는 논리적 단위이다.

 

-  정상 종료시 Commit연산이 비정상종료시 Rollback연산이 수행된다.

 

* 트랜잭션의 특성

 

ㄴ 원자성(Atomicity):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든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

 

    ● 완벽히 수행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모두 취소되어야 한다.

 

ㄴ 일관성(Consistency):

 

    ● 데이터베이스는 트랜잭션 수행이 완료 되면 일관성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변환되어야 한다.

 

    ●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고정 요소는 트랜잭션 구행 전과 수행 완료 후에 상태가 같아야 한다.

 

    ●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이 없는 고립 상태에서의 트랜잭션 수행은 데이트베이스의 일관성을 유지해야한다. 

 

ㄴ 독립성(Isolation):

 

    ● 한 트랜잭션이 완료되기 전에는 다른 데이터를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 할 수 없어야 한다. 

 

    ● 여러 트랜잭션들이 동시에 수행되어도 그 결과는 순차적으로 실행딘 결과와 같아야 한다.

     

ㄴ 영속성(Durability):

   

     ● 트랜잭션의 실행이 성공적으로 실행 완료 되면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여도 트랜잭션에 의해

         변경된 내용은 지속되어야 한다.

                                                             

    ● 성공적으로 완료된 트랜잭션의 결과는 영구적으로 반영 되어야한다.  

 

* 트랜잭션의 상태

 

- 활동(Active): 트랜잭션이 실행중인 상태

 

- 실패(Failed): 트랜잭션 실행중 오류가 발생하여 중단된 상태

 

- 철회(Aborted): 트랜잭션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 Rollback  연산이 수행된 상태.

 

- 부분 완료(Partially Commited): 트랜잭션의 마지막 연산까지 실행 됬지만 Commit 연산이 실행 전인 상태.

 

- 완료(Commited):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 되어 Commit 연산이 실행 된 상태.

728x90

'I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행제어  (0) 2018.01.13
회복  (0) 2018.01.12
인덱스  (0) 2018.01.12
시스템 카탈로그  (0) 2018.01.12
정규화  (0) 2018.01.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