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카탈로그
* 시스템 카탈로그의 개념:
- 데이터 사전이라고도 불린다.
-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된 내용을 메타데이터라고 한다.
└>*메타데이터는 저장되는 데이터와 직접 혹은 간접접으로 관계가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를 말한다(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메타데이터 포멧
● MARC: 목록 레코드를 식별하여 축적/유통 할수 있또록 코드화 한 메타 데이터
● DC: 네트워크 환경에서 각종 전자정보를 기술하는 메타 데이터
● ONIX: 유통에 관한 통계와 체계적인 정보를 치급함으로써 정상적인 유통 및 관리를 위한 메타 데이터
● MODS: 디지털,도서관 범용 서지 정보 표준 메타 데이터로서 MARC, DC, ONIX등을 절충하여 상호운용성과 정밀성을 모두 충족시킴
- 저장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 개체들에 대한 명세에 대한 정보가 수록 되어있다.
- DDL의 결과로 구성된 기본 릴레이션, 인덱스, 뷰, 사용자 접근 권한 등의 데이터베이스 구조 및 통계 정보가 저장 된다.
-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모두 접근이 가능하다.
* 시스템 카탈로그의 특징:
- 사용자가 SQL문으로 내용 검색이 가능하다.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생성 및 유지 된다.
- 기본 테이블, 뷰, 인덱스 등이 변경되면 자동으로 시스템 카탈로그는 갱신된다.(사용자가 SQL문으로는 갱실 할 수 없다.)
- 위치 투명성, 및 중복 투명성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제어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 시스템 카탈로그의 내용:
ㄴ릴레이션의 정보:
● 릴레이션의 이름
● 릴레이션이 저장된 파일 이름과 파일 구조
● 릴레이션의 속성들에 대한 속성 이름과 타입(또는 도메인)
● 릴레이션에 대해 정의된 각 인덱스의 이름
● 릴레이션에 대해 정의된 무결성 제약 조건
ㄴ 인덱스 관련 정보:
● 인덱스 이름
● 인덱스의 구조
● 인덱스 키에 대한 정보
ㄴ 뷰 관련 정보:
● 뷰의 이름
●뷰의 정의
● 뷰의 소유자
ㄴ 사용자 관련 정보:
● 사용자 계정 정보
● 사용자 권한 정보
ㄴ 통계 관련 정보:
● 릴레이션 카디널리티
● 인덱스 카디널리티
● 인덱스의 높이
● 인덱스의 범위